발부르가 합스보리 도우글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부르가 합스보리 도우글라스는 1958년 독일에서 태어난 오스트리아의 귀족이자 스웨덴의 정치인이다. 그녀는 마지막 오스트리아 황제 카를 1세의 손녀이며, 유럽 의회, 스웨덴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전문 경력으로는 유럽 의회 조교, 오만 정보부 근무, 아랍 국제 미디어 포럼 이사 등을 거쳤다. 정치적으로는 범유럽 연합에서 활동하며,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국경에서 열린 범유럽 피크닉을 조직했다. 1992년 스웨덴 귀족과 결혼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으며, 현재 스웨덴 에켄스홀름 성에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계 스웨덴인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는 스웨덴 말뫼에서 태어나 여러 유럽 및 미국 팀에서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과 개인 수상을 기록하고 스웨덴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한, 뛰어난 신체 능력과 기술, 강한 개성을 지닌 축구 선수이다. - 크로아티아계 스웨덴인 - 테디 루치치
테디 루치치는 스웨덴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했으며,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스웨덴 국가대표팀에서 86경기에 출전했고, 1996년 IFK 예테보리 소속으로 스웨덴 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1994년 FIFA 월드컵 3위를 기록했다. - 헝가리계 스웨덴인 - 페터 바이스
페터 바이스는 헝가리계 유대인 아버지와 스위스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독일계 작가로, 나치의 박해를 피해 망명 생활을 하며 사회 비판적 메시지와 실험적인 형식을 담은 소설, 희곡, 영화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헝가리계 스웨덴인 - 리스 머르첼
헝가리 출신의 수학자 리스 머르첼은 함수 해석학, 고전 해석학, 포텐셜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스웨덴에서 교수로서 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연구는 르베그 적분론, 힐베르트 변환, 리스-토린 정리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이론 발전에 공헌했다. - 오스트리아의 왕녀 - 마리루이즈 도트리슈
마리루이즈 도트리슈는 오스트리아 황제의 딸로, 나폴레옹 1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황후가 되었고, 나폴레옹 몰락 후에는 파르마 공국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류마티스성 흉막염으로 사망했다. - 오스트리아의 왕녀 - 에일리카 폰 올덴부르크
에일리카 폰 올덴부르크는 올덴부르크 대공가의 후손으로 게오르크 폰 합스부르크와 결혼하여 합스부르크 가문과 올덴부르크 가문의 결합을 이루고 세 자녀를 두었다.
발부르가 합스보리 도우글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도우글라스 백작부인 |
출생 이름 | 발부르가 마리아 프란치스카 헬레네 엘리자베트 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
출생일 | 1958년 10월 5일 |
출생지 | 베르크 암 슈타른베르거 제, 독일 |
배우자 | 아치볼드 도우글라스 (1992년 12월 5일 결혼) |
자녀 | 1명 |
아버지 | 오토 폰 합스부르크 |
어머니 | 레기나 프린체신 폰 작센-마이닝겐 |
스웨덴어 이름 | Walburga Habsburg Douglas |
2. 초기 생애
1958년 독일 바이에른주 베르크 암 슈타른베르거 호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마지막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였던 오토 폰 합스부르크이고, 어머니는 작센마이닝겐의 레지나 공주이다. 부모의 다섯째 딸로 태어났으며,[2] 발부르가 마리아 프란치스카 헬레네 엘리자베스라는 세례명을 받았다.[2]
발부르가 합스보리 도우글라스는 교회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유럽 의회 조교, 언론 분야 등에서 전문 경력을 쌓았다. 이후 판유럽 연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특히 1989년 범유럽 피크닉 조직에 기여하며 동유럽 공산주의 체제 붕괴에 영향을 미쳤다. 스웨덴에서는 온건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스웨덴 의회 의원을 역임하는 등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그녀가 태어났을 당시 아버지 오토 폰 합스부르크는 무국적자였으며, 스페인의 외교 여권을 이용해 독일에 거주하고 있었다. 발부르가는 1938년부터 나치에 의해 다시 시행된 합스부르크 법에 따라 태어날 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형제자매들과 함께 오스트리아 공화국에서 추방된 상태였다. 오스트리아 공화국은 이후 유럽 연합 가입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인권 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은 이 추방 조치를 철회해야 했다.[1]
발부르가는 마지막 오스트리아 황제였던 카를 1세의 손녀이며, 합스부르크-로렌 가문의 일원이다.[2] 그녀의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작위(1919년 오스트리아에서 폐지됨)[3]는 오스트리아 대공 발부르가, 오스트리아 대공, 헝가리 및 보헤미아 공주이며, 칭호는 황실 및 왕실 전하(HI&RH)이다. 그녀의 가족은 어린 시절 독일 망명 생활 동안 이러한 전통적인 작위를 비공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그녀는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작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4] 다만 법적으로는 현재 거주하며 시민권을 가진 스웨덴 왕국에서 백작 도글라스의 작위를 보유하고 있다.
3. 경력
3. 1. 전문 경력
1977년 바이에른주 투칭에서 아비투어를 마친 후, 잘츠부르크에서 교회법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부터 1992년까지 유럽 의회에서 조교로 일했다. 1983년에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국립 저널리즘 센터(National Journalism Centereng)에서 공부했으며, 같은 도시의 ''리더스 다이제스트'' 사무실에서도 근무했다. 1985년부터 1992년까지는 오만 술탄국 정보부에서 활동했다. 2004년에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아랍 국제 미디어 포럼(Arab International Media Forumeng)의 이사로 선임되었다.
3. 2. 정치 경력
1973년 판유럽 청년 독일(Paneuropa-Jugend Deutschland)을 공동 설립하여 바이에른 지부 의장과 전국 부의장을 역임했다. 1977년 브뤼제비츠 센터(Christlich-Paneuropäisches Studienwerkde)를 설립했다. 1980년부터 1988년까지 국제 판유럽 연합의 국제 사무차장을, 1988년부터 2004년까지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2004년부터는 집행 부의장을 맡고 있다.
1989년 8월 19일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국경의 철의 장막에서 열린 범유럽 피크닉을 조직하는 데 참여했다. 이 행사를 통해 국경 울타리가 개방되었고, 660명 이상의 동독 주민들이 서독으로 탈출하는 계기가 되었다.[5] 이는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최대 규모의 탈출 사건이었으며, 동유럽 공산주의 체제 붕괴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003년부터 스웨덴 온건당 소속으로 플렌시 지역 지부 의장과 쇠데르만란드주 지역 당 조직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온건당과 연계된 야를 얄마르손 재단(Jarl Hjalmarson Foundation) 이사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6]
1999년과 2004년 유럽 의회 선거, 2002년과 2006년 스웨덴 의회( Riksdag|릭스다그sv) 선거에 온건당 후보로 출마했다. 2006년 9월 17일 선거에서 스웨덴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는데, 이 선거는 1928년 이래 온건당이 가장 높은 지지를 받은 선거였다. 2011년부터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의회 부의장과 스웨덴 의회 대표단 단장을 맡고 있다. 8년간의 의정 활동 끝에, 2014년 선거에서 온건당이 부진한 성적을 거두면서 Riksdag|릭스다그sv 의원직을 잃었다.[7][8][9]
공산주의 범죄 정보 연구소(Institute for Information on the Crimes of Communism)의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4. 사생활
1992년 12월 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발부르가는 스웨덴 귀족인 칼 악셀 "아치볼드" 더글러스 백작(1949년 11월 27일 스톡홀름 출생)과 결혼했다. 그의 부모는 아치볼드 더글러스 백작과 마가레타 라게르펠트 남작부인이었다.[2] 그녀의 남편의 가문은 스코틀랜드 더글러스 가문의 일원으로, 스웨덴 분가를 세운 스코틀랜드 출신 로버트 더글러스, 스케닝게 백작의 후손인 스웨덴 귀족 가문이다. 1654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이 수여한 이 가문의 백작 작위는 스웨덴에서 법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녀의 남편은 바이에른의 막스 공작의 아내인 바이에른 공작부인 엘리자베스, 그의 형제자매인 말버러 공작부인 로시타 스펜서-처칠과 구스타프 더글러스 백작, 그리고 리히텐슈타인의 세습 공작부인 소피, 옛 바이에른 공작부인의 사촌이다.
그들은 아들 더글러스 백작 "모리츠" 오토 벤젤[10](1994년 3월 30일 스톡홀름 출생)을 두고 있다. 그들은 스웨덴의 에켄스홀름 성에 거주한다.
5. 서훈
- 합스부르크-로렌 가문: 제국 및 왕립 별 십자 훈장 1등급
- 몰타 기사단: 명예 및 헌신 기사
참조
[1]
웹사이트
Habsburgs demand return of estates seized by Nazis in 1938
https://www.telegrap[...]
2004-02-22
[2]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Fürstliche Häuser
C.A. Starke Verlag
2001
[3]
웹사이트
Law of April 3, 1919, on the referral from the state and the takeover of the assets of the House of Habsburg-Lorraine
http://www.ris.bka.g[...]
2011-05-07
[4]
Youtube
Daniel Pereira interviews HRH Walburga Habsburg
https://www.youtube.[...]
[5]
웹사이트
Walburga Habsburg Douglas: 'We knew the Iron Curtain could fall'
https://www.dw.com/e[...]
2014-08-19
[6]
웹사이트
Board – Jarl Hjalmarson Foundation
https://www.hjalmars[...]
2020-10-08
[7]
웹사이트
Kaiser-Enkelin Walburga Habsburg nicht mehr im Schwedischen Reichstag
https://www.derstand[...]
[8]
웹사이트
Walburga Habsburg Douglas (M) - riksdagen.se
http://www.riksdagen[...]
2016-03-04
[9]
웹사이트
OSCE, Alm.del - 2011-12 - Bilag 9: Invitation til valgobservationsmission i Kirgisistan den 30. oktober 2011
https://www.ft.dk/sa[...]
[10]
웹사이트
Riksdagens enda prinsessa
https://www.realtid.[...]
2006-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